본문 바로가기

꼭 알아야 할 금융 재테크

공매도 금지 가능성 언급 :: 또다시 코스피, 코스닥 랠리 시작되나?

반응형

금감원 공매도 금지 언급하다.

정권이 바뀐 이후로 개인 투자자들이 언성을 높여왔던 공매도 금지에 대하여 금감원의 태도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7월 11일(월) 오늘 속보로 나온 내용인데요. 세계 금융시장 내에서도 하락세가 유독 심했던 국내시장 코스피, 코스닥에 다시 한 번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을지 궁금해지는 이벤트네요. 물론 공매도 금지를 시행한다고 확정지은 내용은 아닙니다. 다만, 지금까지 공매도 관련 제도 개선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던 금감원에서 다시 한 번 금지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점은 충분히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데요.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한 방역대책과 CPI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있는 시기이기에 손실을 키우고 있는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오늘은 대부분 혼조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코스피와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들의 움직임을 살펴보겠습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등락율]

  • 삼성전자 +0.68%
  • LG에너지솔루션 +3.35%
  • SK하이닉스 -0.74%
  • 삼성바이오로직스 +1.22%
  • 삼성전자우 +0.19%
  • 네이버 -3.21%
  • 현대차 +1.40%
  • LG화학 -3.15%
  • 삼성SDI -1.30%
  • 카카오 0%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등락율]

  • 셀트리온헬스케어 +0.84%
  • 엘앤에프 -1.63%
  • HLB +0.25%
  • 카카오게임즈 0%
  • 펄어비스 -2.09%
  • 셀트리온제약 -0.13%
  • 에코프로비엠 -3.53%
  • 알테오젠 -1.72%
  • 씨젠 +5.82%
  • 스튜디오드래곤 +1.22%

LG에너지솔루션과 씨젠이 3% 이상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와 LG화학, 펄어비스, 에코프로비엠 등 3% 이상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종목도 많이 보입니다. 기울어진 운동장 논란으로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 있는 공매도 관련 이슈가 이번에도 한시적 금지 조치를 활용하여 개인 투자자들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다시 한 번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으면 하는 바램이네요.

이 밖에도 오늘 금융위원장은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의 잠재력을 인정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언급이 많아졌는데요. 윤석열 대통령이 금융위원장 자리에 김주현 위원장을 임명하면서 뒤늦게나마 투자자 보호 정책이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래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