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꼭 알아야 할 금융 재테크

펄어비스 주가 전망 :: 블랙클로버, 붉은사막, 도깨비 출시일 정보는?

반응형

6월 10일 종가 기준 펄어비스 주가변동 추이


두 번의 폭락, 추세전환 상승은 언제 나올까?

텐센트와 손을 잡고 중국 외자판호를 획득한 펄어비스는 탄탄한 검은사막IP 모바일 게임을 올해 서비스 돌입에 성공했습니다. 다만, 초기 흥행성과는 물론 현재에도 유저 확보 및 매출 유도에 실패한 모습이죠. 이로 인하여 주가는 2번의 폭락을 거쳐 5만 6천원 지지를 받고 현재 6만원 수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사측에서는 출시일 서버 문제와 함께 중국 현지 게임 규제로 인해 매출을 올리기 위한 시스템을 거의 도입하지 못했다는 핑계를 대면서 추후 텐센트와 대규모 마케팅 및 BM 과금 시스템 개선을 통해 매출을 끌어올리겠다고 지난 1분기 컨퍼런스콜에서 자신있는 언급을 했는데요. 이후에 신규 직업 출시 및 다양한 업데이트를 이어가고 있지만 중국 내에서 매출 반등을 확인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중국과 관련된 저조한 실적 이슈는 이미 주가에 모든 반영을 마쳤다고 봅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검사 모바일보다는 PC버전의 외자 판호가 사실상 진짜 임팩트 있는 중국 진출이 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어요. 펄어비스는 모바일에 이어서 PC버전도 텐센트와 배급 계약을 맺은 상태이며, 중국이 코로나로 인한 지역 봉쇄로 경제가 악화되자 최근에 내자판호를 다시 내어주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지난 달 내자판호에는 텐센트가 포함되지 않았지만 머지 않아 펄어비스의 PC 검사도 판호를 획득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어요. 하지만 너무 막연한 내용이기 때문에 이를 바라고 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죠. 최근에는 이렇다 할 반등이 나오지 않는 상태에서 2022 summer game fest에서도 붉은사막 10분 플레이 영상은 공개되지 않았고 주주들의 원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자사주 처분을 통해 직원들에게 상여금을 지급하고 7월 1일 신사옥으로 이전을 알리는 등 주가 부양과는 거리가 있는 공시만 나오고 있죠. 그렇다면 펄어비스의 본격적인 반등과 상승랠리를 위한 모멘텀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역시나 신작 게임 출시를 통한 IP다변화와 매출 수익구조의 안정화입니다.



블랙클로버 모바일, 붉은사막, 도깨비, 플랜8 신작 출시일 공개가 시급하다.

현재 펄어비스 사측에서는 붉은사막과 도깨비를 동시 개발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플랜8은 나중의 얘기이고 일본의 인기 애니메이션 기반의 블랙클로버 모바일은 지분을 갖고 있는 자회사에서 개발을 진행하며 최근에 2차 FGT에 돌입했는데요. 올해 펄어비스 주가에 영향을 주는 신작 출시 순서는 블랙클로버-붉은사막 정도로 이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각에서는 붉은사막이 이미 수차례 출시 연기가 되었으며, 2분기가 끝나가는데도 출시예정일을 밝히지 않고 연내 10분 영상 소식만 전하는 것으로 보아 다시 2023년 출시로 지연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추측해보자면 붉은 사막 영상공개 시점에서 디테일한 출시일정을 발표할 것으로 보이며, 플레이 영상은 오는 9월 유럽에서 개최되는 게임스컴에서 공개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주주의 입장에서 주가 중심으로 시기를 따져보면 8월에 2분기 실적이 공개될 예정이고 현재 예상치 보다 높은 미국 CPI 물가 수준으로 인해 자이언트 빅스텝 가능성이 떠오르는 만큼 추가적인 하락을 대비해야겠죠. 펄어비스는 외인이 주포인 것으로 보이는데, 최근 수급상황을 보면 2차 하락 이후에 외인이 다시 매수세를 보이며 대차잔고가 1,000만 주 이상에서 700만주 수준까지 하락하면서 긍정적인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분기 컨콜에서는 개발자들에게 부담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붉은사막과 도깨비의 세부적인 출시 일정을 공개하지 않는다고 밝혔지만, 지금의 흐름대로라면 자사주 소각에 이어서 무상증자, 특별 분기배당, 자사주 매입 등 주가 부양을 위한 정책을 펼쳐주는게 당장 고통받고 있는 주주들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되겠죠. 한편 펄어비스를 메타버스 관련주로 편입시킨 도깨비의 후속 정보가 얼마나 빠른 시일 내에 이어지냐에 따라 메타버스 섹터의 상승 전환에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